맨위로가기

루카 델라 로비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카 델라 로비아는 이탈리아의 조각가로,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그는 금세공인으로 훈련받았으며, 도나텔로의 영향을 받았다. 피렌체 대성당의 칸토리아를 제작했고, 유약을 바른 테라코타 기법을 발전시켜 건축 조각에 활용했다. 그의 작품은 르네상스 시대의 자연주의를 보여주며,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그의 재능을 동시대의 다른 예술가들과 동등하게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라코타 - 녹 문화
    녹 문화는 기원전 1500년부터 서기 500년경까지 나이지리아 중부에서 번성한 고대 문화로, 테라코타 조각상과 초기 철기 시대의 야금 및 농경 기술 발달로 알려져 있으며, 약탈로 인해 유적지 파괴 및 정보 손실이 심각하다.
  • 테라코타 - 병마용
    병마용은 진시황릉에서 발굴된 진시황의 장례를 위해 제작된 테라코타 군상으로, 진나라 군대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역사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유물이다.
  • 1400년 출생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1400년 출생 - 도메니코 베네치아노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는 15세기 이탈리아 화가로, 베네치아 출신으로 추정되며 피렌체와 페루자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밝고 화려한 색채와 건축 요소를 화사하게 표현하는 화풍으로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1481년 사망 - 메흐메트 2세
    메흐메트 2세는 1432년에 태어나 145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되어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고 오스만 제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1481년에 사망했다.
  • 1481년 사망 - 크리스티안 1세
    크리스티안 1세는 올덴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국왕을 지냈으며 슐레스비히 공작과 홀슈타인 백작을 겸했고 코펜하겐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나 칼마르 동맹 재건 시도는 실패했다.
루카 델라 로비아
기본 정보
18세기에 그려진 초상화, 조반니 바티스타 체키 그림
이름루카 델라 로비아
로마자 표기Luca della Robbia
출생1400년경
출생지피렌체
사망1481년
사망지피렌체
국적이탈리아
직업조각가
활동 시기1460년경
1475년경

2. 생애

루카 델라 로비아는 피렌체에서 태어나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을 위해 제작한 칸토리아(1431-1438)로 처음 기록에 등장한다. 칸토리아는 시편 150편을 바탕으로 노래하고 춤추는 아이들을 묘사한 10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4][5]

이후 20년 동안 루카는 대리석과 청동 조각에 힘썼다.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종탑의 대리석 연작 부조(1437년), 산타 마리아 인 페레톨라 교회에 있는 대리석과 에나멜 세공된 테라코타 타베르나클(1443년)[12], 칸토리아에 부속된 청동 천사상 등이 대표적이다.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와 함께 제작한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성구실의 거대한 문(1469년 완성)은 묘사된 인물이 적고 구성이 단순하여 로렌초 기베르티가 제작한 피렌체 산 조반니 세례당 문의 복잡한 회화적 효과와 대조적이다.[14]

언제 처음 채색 유약을 바른 테라코타를 제작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거대한 부조 ‘그리스도의 부활’(1445년)[15], ‘그리스도의 승천’(1446년)[16]을 보면 그가 이 재료를 능숙하게 다루었음을 알 수 있다. 납유리 슬립을 칠하고 구운 점토의 광택 있는 표면에 건축 조각에 어울리는 아름다운 색을 채색했다. 대성당의 넓고 어두운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는 이 작품이든, 피렌체 파치 가문 예배당의 거친 표면을 빛나게 하는 ‘열두 사도’ 연작이든, 이 재료를 사용한 루카의 부조는 이전에도 이후에도 결코 달성할 수 없었던 완벽한 작품이다.

1482년 2월, 루카는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그는 죽기 전까지 수많은 장식 부조와 제단화를 제작했지만, 가족과 조수들과 함께 작업했다.

2. 1. 초기 활동

바사리, 가우리코 등 여러 초기 작가들은 루카 델라 로비아의 젊은 시절, 훈련 및 초기 작품에 대해 서로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 그는 피렌체에서 태어났으며, 아르테 델라 라나(양모 공업 길드) 회원의 아들이었다. 미술사가 바사리에 따르면 그는 기베르티와 함께 피렌체 세례당 문을 작업하기 전에 레오나르도 디 세르 조반니 밑에서 금세공인으로 훈련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도나텔로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1420년대에는 건축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가 건물 조각 작업에 그를 고용했다.

그의 중요한 의뢰 작품인 피렌체 대성당의 ''칸토리아''("합창석"; 1431–1438)는 1432년 그가 조각가 길드 아르테 데이 마에스트리 디 피에트라 에 레냐메(석재 및 목재 작업자를 위한 길드)에 가입하기 전에 이루어졌다. 바사리에 따르면 메디치가가 이 의뢰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5]

루카 델라 로비아가 젊었을 때 어디에서 수련했는지, 초기 작품은 물론이고 후기 작품 대부분도 언제 제작되었는지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다. 확실한 것은 그가 피렌체에서 태어났다는 것뿐이다.

루카에 대한 기록은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을 위해 제작한 ‘칸토리아’(Cantoria, ‘노래하는 관람객’ 또는 ‘성가대석’으로도 불림, 1431년-1438년) 제작에서 처음 등장한다. 1432년 시점에 이미 조각가 길드에 오랫동안 참여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칸토리아’는 시편 150편의 “신을 찬양하라”에 선율을 붙여 노래하고 춤추는 아이들을 생생하게 묘사한 것으로, 10개의 판(정면에서 보이는 8개와 위쪽 양쪽에 2개)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후 20년 동안 루카는 대리석상과 청동상 제작 작업을 했다.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종탑의 대리석 연작 부조(1437년), 현재 산타 마리아 인 페레톨라 교회에 있는 대리석과 에나멜(琺瑯) 세공된 테라코타 타베르나클(1443년)[12], ‘칸토리아’에 부속된 청동 천사상 등이 있다.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와 함께 제작한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성구실의 거대한 문(1469년 완성)[13]은 묘사된 인물도 적고 구성도 단순하여 로렌초 기베르티가 제작한 피렌체 산 조반니 세례당 문의 복잡한 회화적 효과[14] 및 질서정연한 구성과는 완전히 대조적이다.

2. 2. 전성기

루카 델라 로비아는 피렌체에서 태어났으며,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을 위해 제작한 '칸토리아'(1431년-1438년)를 통해 처음 기록에 등장한다. '칸토리아'는 시편 150편을 바탕으로 노래하고 춤추는 아이들을 묘사한 10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12]

이후 20년 동안 루카는 대리석과 청동 조각 작업을 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종탑의 대리석 연작 부조(1437년), 산타 마리아 인 페레트라 교회에 있는 대리석과 에나멜 세공된 테라코타 타베르나클(1443년)[12], '칸토리아'에 부속된 청동 천사상 등이 있다.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와 함께 제작한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성구실의 거대한 문(1469년 완성)은 단순한 구성으로 로렌초 기베르티의 피렌체 산 조반니 세례당 문과 대조적이다.[13][14]

루카가 언제 처음 채색되고 유약을 바른 테라코타를 제작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부조 '그리스도의 부활'(1445년)[15]과 '그리스도의 승천'(1446년)[16]을 통해 그가 이 재료를 능숙하게 다루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건축 조각에 어울리는 아름다운 색을 채색하여 대성당의 어두운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피렌체 파치 가문 예배당의 '열두 사도' 연작 또한 이 재료를 사용한 루카의 뛰어난 작품이다.

2. 3. 후기 및 사망

루카 델라 로비아는 1482년 2월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그는 죽기 전까지 조수, 가족들과 함께 수많은 장식 부조와 제단화(알터피스)를 제작했다.[12]

3. 주요 작품

루카 델라 로비아의 주요 작품으로는 피렌체 대성당을 위해 제작한 "칸토리아"(노래하는 회랑, 1431~1438)가 있다.[6] 이 작품은 시편 150편의 말씀처럼 "주님을 찬양"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추고, 음악을 연주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생생하고 역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수태고지, 1445년, 피스토이아 산 조반니 푸오리치비타스 교회, 세부


델라 로비아는 피렌체 대성당 종탑을 위한 대리석 부조(1437), 미켈로초와 협업한 대성당 성구실의 청동 문(1469년 완성)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특히, 로렌초 기베르티의 세례당 문과 비교했을 때, 델라 로비아의 청동 문은 평평한 바탕에 간단하고 질서 정연한 구성을 보여준다.

델라 로비아의 대리석 작품 중 주목할 만한 것은 피에솔레 주교 베노초 페데리기의 묘비(1454~1456)이다. 이 작품은 편안한 자세로 누워 있는 주교의 초상과 천사들의 우아한 부조, 그리고 채색 타일로 된 직사각형 프레임이 특징이다.

델라 로비아는 유색 유약 테라코타 기법을 사용한 작품으로도 유명하다. 피렌체 두오모를 위해 제작한 대형 부조 「부활」(1445)과 「그리스도의 승천」(1446)은 이 기법의 뛰어난 기술을 보여준다.[8] 또한, 피렌체 산 미니아토에 있는 포르투갈 추기경 예배당의 에나멜 테라코타 천장(1466)과 르네 앙주의 문장이 새겨진 메달리온(1442)은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3. 1. 조각

루카 델라 로비아의 첫 기록된 의뢰는 피렌체 대성당을 위한 "칸토리아"("노래하는 회랑", 1431~1438)였다.[6] 델라 로비아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의 감독하에 7년에 걸쳐 부조를 조각하는 동안 그의 스타일은 발전했다. 초기 조각 패널은 상당히 대칭적이고 움직임이 부족했지만, 후기 패널에서는 노래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이 훨씬 더 분명하고 역동적으로 나타난다. 노래하는 회랑은 시편 150편의 말씀처럼 "주님을 찬양"하기 위해 노래하고, 춤추고, 음악을 연주하는 아이들을 보여준다. 그들의 모습은 활기차고, 세밀하게 관찰되었으며, 회랑의 열 개의 패널에 맞게 디자인된 그룹으로 우아하게 결합되어 있다. 칸토리아 작품의 발전된 성격은 루카 델라 로비아의 석재 기술과 르네상스 자연주의의 주요 피렌체 예술가이자 학생으로서의 그의 위치를 확립한 것으로 여겨진다.[4]

다음 20년 동안 델라 로비아는 피렌체 대성당 종탑을 위한 일련의 작은 대리석 부조(1437)와 미켈로초와의 협업으로 대성당 성구실을 위한 대형 청동 문 프로젝트와 같은 의뢰를 수행했다. 이 문들은 1469년까지 완성되지 않았는데, 평평한 바탕에 간단하고 질서 정연한 구성으로 배치된 몇몇 인물에 의존하는 것은 로렌초 기베르티의 더 유명한 세례당 문의 정교한 그림 효과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루카의 대리석 작품 중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는 피에솔레의 주교였던 베노초 페데리기(Benozzo Federighi)의 묘비이다. 1454~1456년에 제작된 이 묘비는 원래 피렌체 산 판크라치오 교회에 있었지만, 1783년 도시 외곽 벨로스구아르도 도로의 산 프란체스코 디 파올라로 옮겨졌다. 1898년에는 다시 피렌체 산타 트리니타 교회로 옮겨졌다. 편안한 자세로 누워 있는 주교의 초상은 관(sarcophagus) 위에 있으며, 관에는 비문이 새겨진 화환을 들고 있는 천사들의 우아한 부조가 조각되어 있다. 위에는 전통적인 유형의 성 요한과 성모 마리아 사이에 그리스도의 허리까지 길이의 인물이 있다. 전체는 채색 타일로 된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있다. 각 타일에는 에나멜 안료로 생생한 사실적인 색상의 꽃과 과일 다발이 그려져 있다. 각 타일의 꽃다발은 하나의 판에 그려져 있지만, 각 타일의 바탕은 별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바탕의 안료가 중앙의 에나멜 그림에 필요한 것과 다른 정도의 열을 필요로 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7]

루카는 건물 외장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더욱 내구성이 강한 야외용 토기 유약을 개발했다. 루카의 작품 중 특히 유명한 것으로는 『예수 탄생』(1460년경)과 『성모자』(1475년경), 피렌체 산 미니아토 성당 포르투갈 추기경 예배당의 에나멜 세공 테라코타 천장(1466년) 등이 있다.

동료였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루카의 재능이 조각가 도나텔로, 로렌초 기베르티, 건축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화가 마사초에 필적한다고 칭찬했다.

3. 2. 주석 유약 테라코타

델라 로비아가 처음으로 유색 유약 테라코타를 사용한 작품의 제작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 기법에 대한 그의 뛰어난 기술은 피렌체 두오모(duomo)의 두 가지 주요 의뢰를 받게 한 계기가 되었다. 바로 1445년에 제작된 대형 부조인 「부활(Resurrection)」과 1446년에 제작된 「그리스도의 승천(Ascension of Christ)」이다.[8] 유약을 입힌 구운 점토라는 유연한 재료는 유리화된 납과 정제된 광물로 이루어진 "슬립(slip)"으로 덮여 있어 빛과 색을 아름답게 반사하는 광택이 나는 표면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건축 조각에 매우 적합했다. 대성당의 광대하고 어두운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든, 피렌체의 작은 파치 예배당(1443~1450년)의 깨끗한 표면을 장식하는 「열두 사도(Twelve Apostles)」 연작이든, 델라 로비아는 이 기법으로 만들어진 부조 작품에서 높은 경지에 도달했다.

자신의 가족 구성원을 포함한 조수들과 함께 일하면서 델라 로비아는 생애 말까지 많은 장식용 부조와 제단 장식을 제작했다. 가장 훌륭한 작품 중 하나로는 피렌체 산 미니아토에 있는 포르투갈 추기경 예배당의 에나멜 테라코타 천장(1466년)을 들 수 있다. 1861년에 빅토리아 앤드 앨버트 박물관이 소장하게 된[9] 또 다른 부조 작품은 그의 자유로운 색채 사용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르네 앙주의 문장과 다른 문장들을 담은 거대한 메달리온으로, 사과, 레몬, 오렌지, 전나무 솔방울 등 다채로운 과일과 꽃으로 정교하게 조각된 화환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메달리온은 1442년 르네가 피렌체를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파치 궁전의 정면에 설치되었다.[7]

그의 작품은 당시 매우 인기가 많았고, 많은 작품들이 피렌체 외부로 보내졌다. 대형 작품들은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해할 수 있었다. 1446년 그는 작업장이 있는 큰 집을 사들였고, 이곳은 1520년대까지 가족 작업장의 기반이 되었다.[4]

1471년 루카 델라 로비아는 피렌체 조각가 조합의 회장으로 선출되었지만, 나이와 건강 문제로 사임했다. 하지만 그의 선출은 당시 그가 동시대 사람들로부터 얼마나 높은 존경을 받았는지를 보여준다.[7] 그는 1482년 2월 피렌체에서 사망했고, 주석 기반 유약에 대한 그의 많은 비밀들을 가지고 갔다.[10][11]

4. 평가 및 영향

동료였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는 루카의 재능이 조각가 도나텔로, 로렌초 기베르티, 건축가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화가 마사초에 필적한다고 칭찬했다.[1] 루카는 건물 외장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더욱 내구성이 강한 야외용 토기 유약을 개발했다.[1] 그의 작품 중 특히 유명한 것으로는 『예수 탄생』(1460년경), 『성모자』(1475년경), 피렌체 산 미니아토 성당 포르투갈 추기경 예배당의 에나멜 세공 테라코타 천장(1466년) 등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della Robbi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31
[2] 사전 della Robbia, Luc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사전 Della Robbia Merriam-Webster 2019-05-31
[4] 웹사이트 Luca della Robbia http://www.oxford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7-15
[5] 서적 The Lives of the Artis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he Cantoria by Luca della Robbia https://rockyruggier[...] 2022-03-13
[7] 백과사전 Della Robbia EB1911
[8] 웹사이트 Luca della Robb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2-08-27
[9] 웹사이트 The coat of arms of René of Anjou, by Luca della Robbia, about 1466-78 http://www.vam.ac.uk[...] 2015-05-11
[10] 서적 Della Robbia Giunti Editore
[11] 서적 Intellectual Property and Open Source O'Reylly
[12] 이미지 Tabernacle
[13] 이미지 North Sacristy Doors
[14] 웹사이트 Bible in Bronze http://www.gracecath[...]
[15] 이미지 Resurrection
[16] 이미지 Ascension of Chr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